전공기초 |
|
인간과환경(Human and Environment) |
실제 환경요건에 대한 인간의 지각 및 반응체계와 상호작용을 탐구하고 자연과 환경 - 공간 - 건축 - 시설 단위에 대한 기초이론과 연계체계를 구축한다. |
전공기초 |
|
건축특론(Advanced Theory of Architecture) |
건축계획 및 설계, 구조, 재료 및 시공에 이르는 건축의 전반적인 흐름과 그에 따른 이론을 체계적으로 구한다. |
전공기초 |
|
도시녹화계획론(Planting Planning in Urban Area) |
도시자연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점, 선, 면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공간의 녹화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고, 각종 용도 지역의 녹화기준 및 녹화방법, 사적녹화방법, 공적녹화방법 등을 습득하여 종합적인 도시 녹화계획 수립을 연구한다. |
전공기초 |
|
건축설계론(Advance Architectural Design) |
건축적 개념이 공간적인 실제로서 이룩되는 과정을 통해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작품 전개능력을 찾는다. 또한 실습을 통하여 설계 과정을 진행한다. |
전공기초 |
|
환경관리론(Environmental Management) |
환경보전을 위한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수립하고 진행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 방법을 다룬다. |
전공기초 |
|
수치해석특론(Advanced Numerical Analysis) |
토목공학의 근간이 되는 수학적 모델을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풀고 그 결과를 분석하기위한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기법을 배운다. 기본적으로는 보간 및 외삽법과 연립방정식해법을 비롯하여 선형대수학 및 고유치 시스템, 미분방정식의 적분법 등이 주된 강의 내용이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건축계획방법론(Advanced Theory of Architectural Design Method) |
계획 방법론에 관한 이론과 디자인 과정, 개발과 여러 가지 방법의 분석, 그리고 Design Process를 위한 수단과 유용한 기술에 대해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건축공간론(Theory of Spatial Planning) |
건축의 공간을 지각과 감각적인 요인을 통하여 공간 구성 요소를 분석 검토하여 공간의 특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연구 개진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건축환경론(Environment of Architecture) |
실내의 환경 설계에 필요한 각종 환경 인자(빛, 열, 음, 조명, 채광 등)데 대한 지식과 환경에 대한 인간의 생리적, 정신적, 행동적 적응성 및 그 적정 기준에 대하여 연구 강의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주거론(Theory of Housing) |
주택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원리를 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이론을 강의하고, 그 원리에 관계되는 문제점을 해결토록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지역시설계획론(Theory of Regional Facility Planning) |
도시 및 지역 시설에 관한 문제점을 국가 경제 및 사회 개발 정책과 관련하여 검토 연구개진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도시설계론(Urban Planning) |
도시의 인구, 산업 구조와 산업 배치, 도시 토지 이용, 도시 교통, 도시 기반 시설, 공원 및 녹지, 공공시설 등의 공공복리와 연관된 부분을 종합적으로 접근해 가면서 도시의 성장과 발전을 꾀할 수 있는 도시경제, 도시행정 및 도시공간배치 배분에 관한 계획 기법과 계획 절차를 개진하는 종합 이론이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건축의장특론(Advanced Theories of Design) |
건축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건축이 갖는 구성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건축 의장 고차원적 접근 방법에 대해 강의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도시건축론(Theory of Urban Architecture) |
도시의 형성과 변천과정에 따라 도시인의 삶을 담는 지역의 건축환경이 어떠한 모습으로 전개되어 왔나에 대하여 실제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동양건축사론(History of Oriental Architecture) |
중국, 일본의 고대로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의 건축사 및 한국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도양건축의 특성을 파악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서양건축사론(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) |
서양 건축의 각 시대의 건축 양식과 사상을 인문, 사회적 배경에 의해서 주요 건축 양식을 비교 상론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건축설비론(Theory f Architectural Equipments) |
쾌적한 환경의 조성을 위한 설비 문제를 건축 환경 대자인의 한 결정 요소로서 이해시키고 현대 건축의 기계화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기술성과 각 시스템의 방법을 이해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학 |
건축계획론(Theory of Architectural Planning) |
건축 계획에 관한 이론과 디자인 과정 등을 분석하고, 건축 계획에의 접근 방법을 비교 상론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유한요소법(Finite Element Method) |
구조 역학 및 고체역학에서의 유한 요소법 응용에 대한 입문 과정이다. 유한 요소법의 발달과정을 설명하고, 이의 바탕이 되는 에너지 이론 및 각 요소들의 강성 매트릭스 유도과정 및 Isoparametric Element를 소개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철근콘크리트특론(Advanced Reinforced Concrete) |
콘크리트와 철근의 재료의 특성을 비교하고, 재료의 응력-변형 관계를 이해한 후, 극한강도 설계법에 의한 각 부재의 설계 방법에 대해 공부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구조해석특론(Advanced Structure Analysis) |
부정정구조물에 대한 체계적인 해석방법을 공부하며, 가상일의 원리 등에 의한 변위계산법, 에너지 정리 등을 설명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구조설계론(Theory of Structural Design) |
여러 가지 형태의 건축 구조물의 설계 방법에 대해 강의 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건설재료론(Theory of Construction Materials) |
각종 인공 및 자연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용 방법을 강구함으로써 건축 디자인의 결정요소로써 보다 광범위한 현대 건축 재료의 정보를 파악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콘크리트배합설계론(Theory of Concrete Mixing Proportions) |
콘크리트를 구성하는 각 재료의 기본적인 배합 방법과 배합 목적을 연구하고, 각 재료의 기본적인 성질에 따라 좌우되는 배합 설계의 응용에 대하여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건축시공론(Theory of Architectural Execution) |
건축 재료의 선택과 사용에 있어서 재료의 성질과 특성을 파악하여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각종 공사에 시공의 제 이론을 탐구하고 새로운 재료 및 시공법을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재료역학특론(Advanced Mechanics of Material) |
재료의 응력 및 변향의 특성을 살펴보고 하중에 따른 부재력 및 변위의 표현 형태를 공부한다 또한 이들에 관계를 에너지의 개념하에서 파악하여 구조 해석을 위한 기본 바탕을 마련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탄성론(Theory of Elasticity) |
모든 구조물에 사용하는 재료는 탄성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. 본 강의는 그 대상으로 완전탄성이면서 등방성인 부재의 역학적 거동에 대하여 취급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재료실험론(Theory of Materials Experiments) |
건축 분야에 사용되는 재료들의 물리?화학적 특성 등 제반 특징을 비롯하여 재료의 성능 평가 및 시험법 등을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콘크리트재료론(heory of Concrete Materials) |
현대 건축물의 구조 재료로써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와 요구 조건, 배합 방법 등을 연구하여, 각 구성 재료의 선택법 및 구성 재료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 변화 등 콘크리트의 제반 사항에 대하여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건축건설공학 |
콘크리트내구성론(Theory of Concrete Durability) |
경화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장기적인 환경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 변화 및 내구성의 실험 방법을 연구하며, 각종 콘크리트에 있어 내구성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.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폐수처리(Waste Water Treatment Engineering) |
자연수의 물리?화학?생물학적인 성질과 조성에 관해 연구하며, 기본원소인 C, N, S, O, P의 분석 및 환경학적 영향에 관해 고찰한다. 강 및 하천의 오염도 및 공장폐기물과의 관계에 대해 집중 연구하며 지하수의 오염문제도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하수도공학특론 (Advanced Sewage Engineering) |
하수처리시설의 설계에 적용되는 하수처리의 신기술에 관한 원리 및 응용법과 반응조의 설계 및 설계 변수에 대한 구체적인 예증과 실시방법에 대하여 실험하고 연구한다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터널공학 (Tunnel Engineering) |
터널공법에 대한 조사, 설계 및 시공 전반에 관하여 언급하며, 특히 NATM공법에 있어서 조절발파, 숏크리트, 록 볼트 및 계측의 사고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. 또한, TBM공법, Shield공법 등과 같은 기계식 굴착을 통한 터널공법에 대해 학습한다.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암반역학특론 (Advanced Rockmass Mechanics) |
암반의 역학적 거동에 관하여 언급하고 터널, 사면, 기초 등의 암반구조물의 파괴양상 및 파괴이론에 대해서 설명한다. 토목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을 위한 암반의 공학적 분류법을 설명하고 암반내 불연속면의 역학적 특성을 논의하며 암반실내 실험을 통해 암반의 변형거동을 학습한다.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강구조설계특론 (Advanced Design of Steel Structure) |
지하양수발전소, 지하에너지저장시설, 지하군사시설, 도시지하시설 등 각종 지하공간 시설물의 특징을 설명하고 지하공간 시설물의 설계, 시공, 활용사례, 문제점 분석, 지반공학적 해석 등을 다룬다.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구조동역학 (Structure Dynamics) |
동역학의 기본이론, 동하중에 대한 응답해석, 자유진동해석, 강제진동해석, 구조계의 지반진동해석, 이동하중에 의한 교량 진동해석, 비선형계의 동적해석, 파의 전파해석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.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상하수도설계 (Design of Water Supply & Wastewater Equipment) |
모든 사람이 맑은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상수처리에 대한 기본계획 및 집수와 취수, 정수처리 공정, 관망설계 등의 설치와 유지관리 기술을 설명하며, 상하수도 시설의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학습한다.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계산수리학 (Computational Hydraulics) |
수리학이론을 기초로 실제 수리학적 현상을 수치해석기법을 통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수공구조물설계(Design of Hydraulic Structures) |
수리수문학에 연관된 토목구조물에 대한 설계기법을 학습하고 발전된 설계기법을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기초공학특론 (Foundation Design Analysis) |
토목 구조물 기초의 해석 및 설계의 기본개념을 설명하고 얕은 기초와 깊은 기초의 지지력 산정법 및 지반상수의 채택법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사면안정론(Slope Stability) |
사면안정률 산정, 사면파괴시 발생하는 흙의 거동 및 안정을 판단하는 이론적 기법 및 수치해석적 기법, 사면보강법에 대해 습득한다. |
전공공통 |
토목공학 |
토공구조물(Earth Structures) |
토목재료로서의 흙, 흙의 다짐 및 다져진 흙의 성질, 사면안정 해석, 흙댐 및 제방의 설계, 지하수 및 침투문제, 연약지반상의 축제, 현장계측한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수질오염관리(Water Quality Management) |
하천, 호수 등 지표수에서 일어나는 물리, 화학, 생물학적 자정작용 및 오염과정을 이해하므로써 효과적인 수질관리방법을 배운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유해물질관리론(Hazardous Waste Managment) |
Hazardous Waste Managment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폐기물위생매립(Sanitary Landfill) |
폐기물의 위생매립 시 입지의 선정, 매립방법, 매립지내 반응, 주요 매립시설의 설계 및 사후관리 등을 다룬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대기오염방지론(Air Pollution Control) |
대기오염의 원인, 동식물 및 인간 환경에 미치는 오염물질의 영향, 대기오염물질의 이동과 확산 및 반응효율에 대한 촉매의 설계상 요인을 분석, 검토한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폐수처리특론(Wastewater Treatment) |
폐수처리를 위한 스크리닝, 포기, 여과 등의 물리학적 공정과 소독, 침전, 산화 등의 화학적 처리공정 그리고 활성슬러지, 혐기성 처리 등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대한 원리와 조작방법을 익히고 수질오염문제에 대한 적용 능력을 익힌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환경공학세미나(Seminar of Environmental Engineering) |
환경오염 전반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과 공학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환경오염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이론과 처리기술에 등에 대하여 토론한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환경화학특론(Environmental Chemistry) |
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분석하고 이동, 반응 등에 대한 명확한 메카니즘을 이해함으로써 자연계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다룬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수질모형연구(Water Quality Modelling) |
하천, 강, 호수, 해안 등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반응과 변화를 수리모형을 통하여 이해하고 수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다룬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유해가스처리론(Toxic Gas Treatment) |
산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여러 가지 특성을 다루고,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다룬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상하수도공학(Water Supply and Sewerage Engineering) |
상수도, 하수도 등의 환경기초시설을 효과적으로 계획, 운영, 관리하는 방법을 다룬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지하수및토양오염(Ground Water and Soil Pollution) |
지하수 및 제어에 관한 연구, 지하수 오염 수치 모델링 기법, 흙의 구성상태에 대한 토질역학 일반을 다룬다. |
전공공통 |
환경공학 |
환경영향평가론(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) |
교통, 항만, 하천, 발전소, 건설, 공업단지 조성, 농수산업 및 관광단지 개발 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, 문제해결을 위한 대책 수립을 다룬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조경관리론(Theory of Landscape Architectuer Manegement) |
조경영역에 관한 발전 연계과목으로서 계획, 설계, 시공 및 운영에 이르는 제반문제의 관리에 관한 이론 및 실기과목이다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기초공간설계특론(Advanced Basic Space Design) |
옥외공간설계에서 필요로하는 설계단위와 차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실제적으로 설계연습을 유도하면서 현실적 공간계획을 설계하는 기법을 종합예술적 과학적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튜디오 과목이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도시조경계획(Urban Landscape Planning) |
도시의 구성, 생성, 발전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와 도시환경속에서 발생하는 이용자 행태를 고려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우한 설계법을 익힌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경관론(Theory of Landscape) |
경관을 구성하는 기본원리와 경관을 분석하는 틀에 대하여 연구하고 설계시의 적용 타당성에 관하여 검토한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환경조사분석(Environmental Survey and Analysis) |
조경계획 수립에 기초가 되는 과목으로 기상, 토양, 지형, 지질, 식생, 풍향, 경사, 등고선등을 대상으로 한 조경방법론을 중점 강의한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특수조경(Landscape Architecture of Special Site) |
콘크리트지반, 해안매립지, 고속도로의 주변 절개지 등 특수지역에서 적용되는 조경이론, 실기, 시공에 관하여 연구한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소재개발론(Material Development) |
조경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들의 활용뿐만 아니라 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방법을 토대로 소재들을 개발하고 장단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소재의 이용 및 개발에 관하여 학습한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공원개발론(Theory of Park Development) |
주변의 근린공원부터 대규모 국립공원에 이르기까지 각기 공원의 특성에 맞는 공원을 개발하는 능력을 함양한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지역생태론(Regional Ecology) |
생태계의 개념, 에너지 물질의순환, 생물군집, 삼림생태계, 인간생태계 등의 기초이론을 응용지역의 규모에서 생태학적 접근방법으로 환경계획을 수립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조원계획(Garden Planning) |
조경의 주요 분야의 주택정원에 관한 계획과 계획속에 포함되는 각종 구성 요소의 설계기법을 익힌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조경시공적산론(Computations for Landscape Architecture Constuction) |
조경공사에 관한 공정벽 합리적인 예산 계획, 공정 계획, 재료 수배 등에 관한 현장실무 영역에서의 연구를 도모한다. |
전공공통 |
환경조경학 |
조경구조론(Structure&Meterial Study for Landscape Architecture) |
조경 설계에 관한 기초 학문으로써 조경 시설물의 구조, 역학, 재료 등에 관한 응용 등을 연구한다. |